본문 바로가기
생활 속 꿀팁

국세청 사칭메일, 홈택스에서 진짜인지 확인하는 안전한 방법(2025 최신)

by 인포루키 2025. 8. 10.
반응형

국세청에서 온 이메일, 진짜일까?
요즘 국세청을 사칭한 해킹메일·스미싱 수법이 너무 정교해져서
겉으로 봐선 진짜인지 가짜인지 구분이 거의 불가능합니다.
한 번만 클릭 실수해도 개인정보·계좌정보가 털리고,
세금 환급 사기·불법 결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죠.
그래서 “홈택스 공식 진위확인 서비스” 활용이 필수입니다.
지금 확인하고 해킹·스미싱 피해를 예방하세요!

 

국세청 사칭메일 홈택스에서 안전하게 확인!

왜 홈택스에서 진위 확인이 필요할까?

  • 진짜처럼 보이는 위조 메일 증가: 국세청 공식 도메인(@nts.go.kr)이나 연말정산·환급 안내 등 그럴듯한 제목과 발신자를 도용한 해킹메일이 실제 유포되고 있음
  • 첨부파일·링크 클릭 시 위험: 악성코드, 피싱사이트로 연결돼 개인정보·금융정보 탈취 등 2차 피해 가능성 존재
  • 이제 홈택스서 직접 확인: 기존에는 국세청이나 고객센터 문의가 필요했지만, 2025년 6월 27일부터 홈택스 내 '국세청 발송메시지 진위확인 서비스'가 공식 개통되어 PC·모바일에서 즉시 확인 가능

홈택스에서 진위확인 하는 방법(PC·모바일 공통)

  1. 홈택스(www.hometax.go.kr) 접속 및 로그인 (공동/금융인증서 등 필요)
  2. ‘나의 홈택스(My홈택스)’ 또는 ‘나의 알림’ 메뉴 클릭
  3. ‘우편물 발송 내역 조회’ 및 ‘메일·문자발송내역조회’ 혹은 ‘국세청 발송메시지 진위확인’ 선택
  4. 조회 결과 확인: 해당 날짜 및 내용의 메일·문자가 ‘발송내역’에 나오면 진짜, 조회되지 않으면 ‘사칭 또는 가짜’로 반드시 무시

※ 모바일 홈택스(손택스)에서도 7월 4일부터 동일 서비스 제공!

사칭메일 실제 사례와 예방법

  • 자주 등장하는 제목: ‘탈세 제보 결과 안내’, ‘세무조사 통지’, ‘환급금 지급 안내’, ‘자료 제출 요청’ 등 (실제 국세청은 이런 내용 거의 메일로 발송하지 않음)
  • 가짜 주소 등장: @nts.go.kr처럼 보이지만, 실제 주소는 오타(예: @ntss.go.kr, @tianyi.co.kr 등) 임. 주소가 다르면 100% 사칭.
  • 아이디·비밀번호, 금융정보 요구 시 즉시 삭제
  • 의심스런 링크·첨부(특히 zip, exe, js 등) 클릭 절대 금지
  • 피해 발생 시 경찰청(112, 사이버안전지킴이 182) 즉시 신고

국세청 공식 안내, 추가 안전수칙

  • 국세청 메일·문자는 계정정보 요구하지 않음
  • ‘민원증명, 세무조사, 탈세제보, 가산세’ 등 메일 제목은 의심, 홈택스에서 확인 후 미확인 메일은 포털 신고 및 즉시 삭제
  • 메일·문자 진위확인은 직접 홈택스(My홈택스)에서만 가능, 전화문의·별도 사이트(링크)는 절대로 클릭/입력 금지

홈택스 진위확인으로 안전하게, 사칭메일 예방하세요!

2025년 홈택스 진위확인 서비스로 국세청 사칭메일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. 의심스러운 메일이나 문자를 받았다면 꼭 홈택스 내 ‘발송내역’을 먼저 확인하고, 조회되지 않으면 무시하거나 즉시 신고하세요. 정교해진 피싱에도 안전하게 대응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.

반응형